테슬라 자율주행 두고 갑론을박
FSD 성능 직접 실험한 영상 나와
진실 공방의 결말에 시장 집중

최근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 FSD(Full Self Driving)를 향한 비판 영상이 확산되는 가운데, 이를 반박하는 실험 영상이 공개돼 다시 한번 기술력 논란의 중심에 섰다. 앞서 유튜버 마크 로버는 “Can You Fool A Self Driving Car?”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테슬라 차량이 가짜 벽을 인식하지 못하고 충돌하는 장면을 공개하며 파장을 일으켰다.
하지만 이번에 또 다른 유튜버 카일 폴이 같은 실험을 FSD 기반으로 재구성해 반론을 제기했다. 그는 실험에 최신 하드웨어가 탑재된 사이버트럭을 투입했으며,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테스트에 사용된 가짜 벽 앞에서 사이버트럭은 매번 정확하게 정차했고, 이는 기존 오토파일럿 기반 실험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FSD와 HW4 조합
오토파일럿과 달라
카일 폴의 테스트는 마크 로버 영상과 동일한 조건을 구성했다. 도로 위에 실제 벽처럼 보이는 시각적 장벽을 설치하고, 이를 향해 차량을 주행시켰다. 차이점이 있다면, 로버가 사용한 차량은 HW3 기반의 오토파일럿이었고, 폴은 HW4 기반의 최신 FSD를 탑재한 사이버트럭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명확했다. 이전 실험에서 오토파일럿은 가짜 벽을 인식하지 못한 채 수 cm 앞까지 돌진했지만, FSD를 활용한 사이버트럭은 벽을 인식하고 스스로 멈췄다. 로버조차도 영상에서 “초음파 주차 센서가 벽을 인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지만, 폴의 실험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의 판단 능력이 입증된 셈이다.
이러한 결과는 테슬라가 FSD와 하드웨어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HW4는 전방위 인식 성능과 처리 속도에서 HW3를 상회하며, 테슬라가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본격적인 기술 고도화에 나섰음을 보여준다.


실험은 통과했지만
여전한 한계도 존재
반면, 해당 실험에 대한 아쉬움도 지적된다. 댓글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악천후 실험이 없으면 의미 없다”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실제 도로 환경에서는 안개, 비, 어두운 밤 등 다양한 가시성 저하 상황이 발생하는 만큼, 이러한 조건에서의 대응력을 검증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자율주행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핵심이다. 시야가 급격히 줄어드는 악천후나 돌발 변수 속에서도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완전한 신뢰를 받을 수 있다. 단순히 정지선 앞에서 정차하는 기능을 넘어서야 한다는 의미다.
실제로 마크 로버의 실험 이후에도 전문가들 사이에선 FSD의 장단점을 냉정하게 비교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단 하나의 영상으로 모든 시스템을 단정 짓기보다는 다양한 조건 속에서 반복된 실험과 투명한 결과 공유가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테슬라 FSD의 진짜 경쟁력은 이제부터가 시험대에 오르는 순간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