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차의 상징 스포일러
단순 꾸미기용 부품 아니야
내 차에 달면 불법일까?

고성능 자동차나 레이싱카의 뒷부분에 달린 날개는 왠지 모르게 차를 빨라 보이게 한다. 이 날개의 명칭은 스포일러 혹은 리어 윙으로 차를 스포티하게 만드는 익스테리어 요소를 넘어 실제로 고속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스포일러와 리어 윙은 언뜻 비슷한 듯하면서도 다른 모습을 갖췄으며 그 역할도 확연히 나뉜다. 또한 이 둘은 국내 자동차 안전 규정의 영향권에 들기에 멋있다는 이유로 아무렇게나 달았다간 과태료를 물 수도 있다. 이번 시간에는 스포일러, 윙의 특성과 장착 시 주의해야 할 점을 간단히 짚어보았다.

공기 흐름 개선이 목적
고속에서 진가 발휘해

현대 아반떼 N 순정 스포일러
현대 아반떼 N 순정 스포일러

아우디 S7 가변 스포일러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아우디 S7 가변 스포일러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Jung Hyeon HAN”

자동차는 주변 공기를 상하좌우로 가르며 달린다. 자동차가 가르고 지나간 뒷부분은 순간적으로 기압이 낮아지는데 이는 고속으로 갈수록 심해진다. 따라서 고속 주행 시 기압이 낮아지는 차체 뒷부분으로 주변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 와류가 발생하고 이는 에너지 효율을 떨어트린다. 그뿐만 아니라 차체 하부로 지나가는 공기량이 많아지며 차체가 조금씩 뜨는 양력이 함께 발생해 주행 안정성을 해치기도 한다.

자동차 트렁크 끝단이나 뒷유리 상단에 장착되는 스포일러는 이러한 와류 현상을 줄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포일러 장착 여부에 따라 공기저항이 최소 6%에서 많게는 15% 이상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인 효과는 통상 100~120km/h 이상 속도로 주행해야 나타난다. 그래서 스포티한 성향의 수입차 중에서는 평소 트렁크 상단과 평면을 이루다가 일정 속도 이상에서 솟아오르는 가변식 스포일러가 탑재된 모델도 있다.

차체를 눌러주는 리어 윙
비행기 날개의 반대 원리

포르쉐 911 GT3 레이싱카 풍동 테스트 / 사진 출처 =
포르쉐 911 GT3 레이싱카 풍동 테스트 / 사진 출처 = “Porsche”

포르쉐 911 GT3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포르쉐 911 GT3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Top Gear”

스포일러가 다운 포스를 발생시키는 부품으로 잘못 알려지는 경우도 많다. 다운 포스는 양력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속도가 붙을수록 차체를 지긋이 눌러주는 현상을 뜻한다. 스포일러는 상기한 와류 감소 등 공기 흐름을 개선하는 역할만 담당하며 본격적인 다운 포스는 ‘리어 윙’이 만들어낸다.

리어 윙은 스포일러보다 훨씬 거대하고 본격적인 날개 형상을 갖춘 부품으로 일반적인 양산차에 순정으로 탑재되는 경우는 드물다. 고속 안정성이 충분히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달라지지만 부피가 큰 데다가 연료 소모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도로 주행이 합법인 양산차들 가운데 리어 윙이 달려 나오는 대표적인 모델로 포르쉐 911 GT3를 꼽을 수 있겠다. GT3의 리어 윙은 강력한 다운 포스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규정 준수하면 달 수 있어
아무거나 달면 성능 저하

합법 립 스포일러 장착한 기아 K8 / 사진 출처 =
합법 립 스포일러 장착한 기아 K8 / 사진 출처 = “오토몽”

불법 스포일러 튜닝 / 사진 출처 =
불법 스포일러 튜닝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만약 스포일러나 리어 윙이 없는 차에 사제 부품을 장착한다면 무조건 불법일까? 법이 규정한 재질과 형상, 크기, 위치 등을 모두 준수한다면 구조변경 없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우선 금속 제품은 보행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불법이다. 비교적 유연한 FRP로 만든 제품은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스포일러 및 리어 윙의 상단, 후단, 양 끝단이 차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해야 한다. 쉽게 말해 스포일러를 포함한 차체 전장, 전폭, 전고가 순정과 동일한 수준이라면 합법이다.

적당한 크기의 스포일러는 차량의 고속 주행 안정성을 어느 정도 개선해 줄 수 있지만 레이싱카에나 달 법한 거대한 윙은 멋있다는 이유로 무작정 사서 달았다간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댐퍼 감쇠력 및 스프링 반발력, 차체 전반의 공기 흐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 후 장착해야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이싱카의 리어 윙은 거액의 연구 자본을 투자해 수많은 테스트와 조율을 거친 결과물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글을 마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