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르게 오른 신차 가격
2천만 원 이하 신차 드물어
사회 초년생 부담 커진다

신차 가격이 눈에 띄게 비싸진 요즘,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2천만 원 이하 가격의 신차를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현재 시작 가격이 2천만 원 아래인 국산 신차는 현대차의 경우 캐스퍼와 아반떼, 기아는 모닝, 레이, K3뿐이며 쉐보레는 곧 단종될 스파크가 유일하다. 르노코리아와 쌍용차에는 2천만 원 아래에서 시작하는 차종이 아예 없다.
저렴한 차종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임에도 소형차 시장이 통째로 사라지는 등 선택지는 점점 줄고 있다. 이는 완성차 업계가 마진이 높은 SUV 등 고가 라인업에 집중하는 이른바 ‘고급화 전략’을 택했기 때문이다. 현재 경차를 제외한 국산 신차 평균 가격은 약 3,500만 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현실은 아직 경제적 여건이 충분치 않은 사회 초년생들에게 특히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573만 원 오른 코나
망설이는 소비자들


최근 풀체인지를 거친 현대차 소형 SUV 코나는 소형 SUV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지만 가격 인상 폭이 상당하다. 1.6 가솔린 터보 기준 2,468만 원부터 시작하며 풀옵션 가격은 3천만 원 후반에 달한다. 코나가 2017년 처음 출시됐을 당시 시작 가격이 1,895만 원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불과 5년 만에 573만 원이 오른 셈이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원하는 옵션 몇 가지만 추가해도 3천만 원을 훌쩍 넘긴다”라며 계약을 망설이는 상황이다. 이에 현대차는 출시한 지 얼마 안 된 코나에 95만 원 할인 프로모션을 앞세웠지만 여전히 계약 취소가 많으며 납기일은 한 달조차 걸리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구매력 양극화가 원인
신형 트랙스 기대 커져


그럼에도 현대차그룹이 가격을 마음 놓고 올리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소비자 구매력의 양극화가 심화하며 마진율이 높은 차량의 판매량이 부쩍 늘었기 때문이다. 작년까지 심각했던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으로 인해 가격 결정권이 소비자에서 완성차 제조사로 넘어간 상황도 한몫했다. 작년 현대차그룹은 판매량이 전년도 대비 대폭 줄었음에도 영업이익은 역대 최고 수준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조만간 한국지엠이 출시할 신형 트랙스는 가격 경쟁력으로 코나를 위협할 수 있는 유력 라이벌로 주목받고 있다. 작년 말 북미 시장에서 먼저 출시된 신형 트랙스는 2만 1,495~2만 2,295달러의 가격표를 달고 나왔는데, 이는 최상위 트림의 시작가가 2,800만 원대에 그친다는 걸 의미한다. 한국지엠 측은 옵션 구성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하지만 코나 대비 상당한 가성비를 자랑할 것이라는 예측에 힘이 실린다.
수입차 시장도 마찬가지
“저렴한 트림 만들어야”


수입차 시장 역시 고급화 전략에 집중하는 만큼 저가 모델이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작년 말 출시된 폭스바겐 제타가 현재 판매되는 수입차 중 가장 저렴한 모델로 꼽히지만 작년 하반기 연식변경을 거치며 300만 원가량 가격 인상이 있었다. 현행 모델은 3,232만 원에 판매된다.
현재 경차를 제외하고 1천만 원대 후반에서 시작하는 아반떼와 K3는 옵션을 한두 개만 붙여도 2천만 원을 훌쩍 넘긴다. 심지어 경차 역시 가격이 대폭 오른 만큼 첫 차 구매를 고려하는 사회 초년생들의 부담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상황이 향후 판매량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옵션을 몇 개 빼더라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합리적인 트림을 따로 만들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 현대차 긴장해라.. 역대급 호황 맞은 쌍용차, 결국 ‘이것’까지 차지했다
- 이러다 진짜 화성 가겠네.. 논란투성이 테슬라, 제2의 전성기 맞이했다?
- 그냥 지들 마음대로네.. 벌써부터 24년형 신차들이 등장해버린 충격 이유
- 한국이 호구로 보여..? 국내 출시 1년 만에 신차 소식 전해온 수입차 정체
- “징역 맛 좀 보세요” 주차장 자리 없다고 입구 막은 민폐 벤츠가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