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로 나온 슈퍼카 3대의 정체
차량들의 주인은 사기꾼 김재량
수많은 피해자를 남기고 잠적한
사기꾼 김재량의 충격적인 근황?
[오토모빌코리아=뉴스팀] 작년 8월, 국내 네티즌들에게 충격을 선사한 사진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사진 내용은 차량의 경매 정보였다. 그런데 사진 속 차량의 정체가 심상치 않다. 수입차의 대명사, 벤츠가 명함도 내밀 수 없을 정도의 슈퍼카인 부가티와 코닉세그의 차량들이 경매로 올라온 것이다.
국내는 물론 전 세계를 뒤져도 보기 힘든 슈퍼카들이 국내에서, 그것도 경매로 나왔다는 사실은 국내 네티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기 충분했다. 정말 보기 힘들다는 슈퍼카, 그것도 한 대가 아닌 무려 세대의 슈퍼카들은 어떠한 경유를 통해 경매에 나오게 된 것일까?
갑자기 나타난 3대의 슈퍼카
그 시작은 바로 도민저축은행
경매, 정확히는 공매로 나온 3대의 슈퍼카. 그 시작은 약 10여 년 전에 발생한 저축은행 영업 정지 사건이다. 2011년에 발생한 해당 사건은 부실 저축은행 15곳에 대해 영업 정지 처분이 내려진 사건으로, 당시 국내 금융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이었다.
영업 정지 처분을 받은 저축은행들 중 도민저축은행이란 곳이 있었다. 해당 은행의 채권자인 예금보험공사는 도민저축은행에 영업 정지 처분이 내려지자, 채권 회수를 위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그 과정 중 한 창고에서 26대의 슈퍼카들을 발견, 도민저축은행의 자산으로 구분해 압류하게 된 것이다.
슈퍼카 3대의 충격적인 정체
불법대출의 담보였다
예금보험공사는 26대의 슈퍼카 중 13대는 차량 소유주에게, 10대는 경매 및 공매를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데 사용했다. 그렇게 남은 차량 3대가 바로 앞서 언급했던 한 대의 부가티와 두 대의 코닉세그다. 해당 차량들이 뒤늦게 공매에 나온 이유는 차량에 얽혀 있던 법적 절차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해당 차량들은 검찰에서 수사 중인 도민저축은행의 불법대출 사건에 대한 증거물이기도 했다. 사건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렇다. 도민저축은행의 채규철 회장이 해당 차량들을 담보로 받고 불법대출을 해준 것이다. 2011년 당시 도민저축은행은 자기 자본금 비율이 약 1% 밖에 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영업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결국 도민저축은행에 내려진 영업 정지 처분은 결국 채 회장이 내준 불법대출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누가 이 차들을 담보로?
바로 슈퍼카 직수입자 김재량
3대의 슈퍼카를 담보로 받고 불법대출을 해준 채 회장. 그렇다는 것은 불법대출을 통해 채 회장으로부터 대출금을 받아 간 누군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대체 누가 평소에 마주하기도 힘든 슈퍼카를, 그것도 3대씩이나 담보로 맡기고 돈을 받아 간 것일까?
대출금을 받아 간 사람의 정체, 바로 김재량이라는 사람이었다. 그는 한때 슈퍼카 직수입자 이름을 날렸던 사람으로 다양한 슈퍼카들을 튜닝·수리하는 일과 국내로 직수입하여 판매하는 일을 했었다. 사업을 하던 중 김재량은 두바이에서 슈퍼카가 저렴하게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두바이에서 차량을 구매한 후 국내로 들여와 판매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멀고 먼 두바이까지 차량을 갖고 오고 가기가 불가능했던 김재량은 막대한 현금을 융통해야 하는 두바이 현지 관리자를 채용하게 된다. 막대한 현금이 오고 가야 하니 나름 믿을 만한 사람으로 채용했지만, 결국 이중 거래를 하고 있던 현지 관리자에 의해 30~40억의 사기를 당하게 된 것이다.

사기로 잃은 돈을 메꾸고자
사기 행각을 벌인 김재량
집안도 부유했고 사업 수익도 나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메꿀 수 없는 30~40억이란 돈이 한순간에 날아갔다. 심지어 그 돈은 두바이에서 가져올 차량에 대한 선주문 금액까지 포함된 돈이었다. 이때부터 김재량은 본격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기 시작한다. 사기로 인해 잃은 금액을 메꾸기 위해서 말이다.
김재량은 “지인이니깐 저렴하게 팔겠다”라는 방식을 통해 차량 한 대를 5~6명에게 팔았다. 심지어 자기 사업체로 수리를 맡긴 고가의 차량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선 해당 차량을 시세보다 싸게 넘길 테니 캐피털 리스 심사도 받아 보게 했다고 한다. 당시 캐피털은 현재와 현금 지급 시스템이 조금 달랐는데, 계약이 성립되기 전이라 해도 신용등급과 서류가 좋다면 돈이 선지급되는 시스템이었다. 김재량은 이러한 점을 이용, 여러 캐피털에서 대금을 전부 받아 챙긴 것이다.

교통사고를 낸 후
경찰을 피해 해외로 도피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김재량은 약 110억 이상의 돈을 편취했다. 돈을 편취하던 중 김재량은 평소 개인적인 친분이 있던 채 회장을 통해 도민저축은행에서 불법대출을 받은 것이다. 물론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슈퍼카 3대를 담보로 말이다.
말 그대로 한몫 제대로 챙긴 사기꾼 김재량. 그렇다면 김재량은 자신이 벌인 사기 행각에 대해 어떤 처벌을 받았을까? 놀랍게도 처벌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정확히는 처벌을 하지 못한 것이다. 사기 행각을 벌이던 중, 김재량은 자신이 몰던 엔초 페라리로 교통사고를 내게 된다. 이후 경찰이 오게 되면 자신의 사기 행각에 대해 들통날 것이라 판단, 차량을 버리고 곧바로 해외로 도피하게 된다.
국내 경찰의 요청으로 인해 인터폴의 수사망에도 올라간 사기꾼 김재량. 하지만 귀신이 된 마냥 이후 김재량에 대한 소식은 오랜 시간 동안 들을 수 없었다. “미국, 홍콩 등의 나라에서 신분을 세탁한 뒤 조용히 살고 있다”라는 추측만이 난무했다. 그러던 중 최근, 김재량의 충격적인 근황이 전해져 왔다.

김재량이 몸을 숨긴 곳은 미국도 홍콩도 아니었다. 바로 제3국, 케냐의 나이로비에 있었던 것이다. 김재량이 케냐로 몸을 숨긴 이유에 대해선 여러 가지 추측이 있지만, 현재로썬 한국과 범죄인 인도 조약이 체결되지 않아, 국내 경찰들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케냐로 간 것이란 추측이 가장 유력하다.
현재 김재량은 케냐에서 여러 사업을 진행하며 고위층 사람들과 잘 먹고 잘 사는 중이라고 한다. 다행히도 현재 유튜브 채널 “카라큘라”에서 김재량의 사기 행각에 대한 공론화와 검거를 위해 힘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소재지까지 파악이 완료되어 많은 네티즌들은 소위 말하는 “참교육”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 하는데, 과연 수많은 피해자를 남기고 홀연히 사라진 사기꾼 김재량, 그는 과연 어떤 최후를 맞이하게 될까?
인과응보는 있다.
다가올 보상이 크겠군
나라법이 개판이라 이런놈들이 나올수밖에없는 구조아냐? 피해본사람들은 어떤세월을 보냇겠나?
사지를 찢어도 심하지않다고본댜….
불법대출 덮어주는검사가 대통령인데 훈방이네
뭐…..계속잘먹고 산다에 한표던진다! 못잡아 우리나라 는 힘들어….법을하는사람들도 귀찮아서 안잡을꺼임..
젖같이생겼네요 ㅋㅋ 역시생겨먹은대로 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