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진출 확정된 중고차 시장
어떻게든 막으려는 중고차 업자들
허위매물 사기꾼은 우리와 무관하다?
사실 확인해보니, 거짓말만 가득하다
[오토모빌코리아=뉴스팀] 현재까지 자동차 업계의 뜨거운 감자인 사건이 하나 있다. 바로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이다. 최근 정부는 대기업의 중고차 판매업 진출을 허용하기로 결론지었다. 이에 대기업 측 관계자들과 소비자들은 쌍수 들고 환영을 하는 상황이지만, 반대로 정부의 결정을 강력하게 규탄하고 있는 이들도 존재한다. 바로 중고차 매매업자들이다.
중고차 매매업자들은 대기업이 중고차 판매업에 진출하게 될 경우, 중고차 시장의 산업 생태계가 파괴될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중고차 시장의 오랜 골칫거리, 허위매물에 대해선 “중고차 관련 범죄는 정부가 단속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과연 그럴까?
중고차 시장의 난제
바로 허위매물 사기
허위매물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오래됐으며 가장 자주 발생하는 유형의 사기행각이다. 중고차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을 우선 상사로 찾아오게끔 하기 위해 중고차량의 가격을 기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올려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해당 매물을 보고 상사를 방문한 소비자에게 “해당 매물은 이미 팔렸다”, “해당 매물은 사고가 많이 난 차량이니 다른 차량을 추천한다”라고 말하며 소비자가 다른 차량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서 결국 소비자가 가격도 비싸면서 품질도 별로인 중고차를 구매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더욱 악랄해지고
더욱 잔인해진 허위매물 사기
중고차 시장에 허위매물이 등장한 이후, 몇 년의 시간이 지나게 되자 허위매물을 통한 중고차 사기는 더욱 악랄하게 그리고 잔인하게 변모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허위매물을 보고 방문한 소비자를 차량 구매를 할 때까지 감금하거나 신체에 물리적인 상해를 끼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2017년 경에는 중고차 허위매물을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차량을 시세보다 비싼 가격으로 강매, 총 11억 원을 챙긴 중고차 업체 11곳이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해당 업체들은 차량을 보러 온 소비자들에게 욕설과 위협 등을 통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고, 추가 비용을 계속해서 요구하거나 상태가 좋지 못한 중고차량을 강매하는 등의 방식을 취했다고 한다.

허위매물로 사기 친 사람은
중고차 매매업자가 아니다?
중고차 허위매물은 국내 소비자들이 중고차 시장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한 일등공신과 다를 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고차 매매업자들은 중고차 허위매물에 대해 정부가 충분히 단속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이하 연합회는 “중고차로 사기를 벌이는 이들의 대다수는 중고차 시장과 무관한 사람”이라 설명하며 “중고차를 사기의 매개물로 이용할 뿐이지 우리와는 상관없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연합회는 “이런 범죄는 정부와 지자체, 사법기관이 단속하면 해결될 수 있다”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중고차 업자가 아니면
허위매물이 불가능하다
중고차 허위매물로 사기를 벌이는 사람은 중고차 시장과 무관하다. 연합회가 주장하는 내용은 과연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을 하자면 전혀 아니다. 단순하게만 생각해 봐도 중고차 매매업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 중고차 허위매물로 사기행각을 벌이는 짓은 아예 불가능에 가깝다.
중고차 거래는 명백한 금융 거래다. 또한 아무리 중고차라 할지라도 그 가격대가 몇 백만 원단위부터 시작되니 100% 현금 거래가 이뤄지는 빈도가 매우 낮다. 이런 상황인 경우 할부를 위해서 캐피털을 껴야 하는데, 과연 어떤 캐피털 업체가 중고차 매매업자도 아닌 사람이 중고차 거래를 하겠다고 요청한 할부 심사 및 신청을 수락할까?

거짓말만 늘어놓고
해결하려는 시늉조차 없다
정리하자면 중고차 허위매물로 사기행각을 벌이는 사람은 중고차 업자로 봐야 하는 것이다. 애초에 중고차 업자가 아닌 경우에 허위매물로 사기행각을 벌이는 것이 불가능하니 말이다. 그렇다면 그간 중고차 매매업계는 허위매물 근절을 위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던 것일까?
맞다.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았다. 중고차 매매업이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선정되어 있을 당시, 대기업들은 무슨 짓을 해도 중고차 시장 진출이 불가능했고, 중고차 매매업자들은 이러한 점을 이용해 시장 내에서 폭리를 위한 행위를 서슴지 않아왔다. 더군다나 시장의 주요 상품이 정보 불균형의 대표 아이콘, 자동차이지 않은가? 결국 그들은 레몬 마켓일 수밖에 없는 중고차 시장의 특성을 끝까지 이용한 것이다.

중고차 매매업계가 생계형 적합업종에서 탈락되고, 대기업의 진출이 공식화된 현시점. 이들은 자신들이 키워놓은 문제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의 해결”이란 방법을 꺼내고 있다. 이를 두고 한 네티즌은 “피해란 피해는 본인들이 줘놓고 이제 와서 정부에게 책임을 돌리는 모습을 보니 너무나도 화가 난다”라는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국내 네티즌들은 소비자들을 향해 자정작용의 기회를 한 번 더 달라는 중고차 매매업자들에게 국내 네티즌들은 “자기들이 잘못해놓고 뭔 자정작용?”, “할 수 있으면 진작에 했겠지”, “ 하라고 할 땐 안 하고 밥줄 끊길 것 같으니깐 저러네”, “그간 해결하려는 시늉조차 안 했으면서 뭘 보고 믿냐”, “보기만 해도 가증스럽다”와 같은 분노에 찬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