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증가하는 전기차 판매량
인프라가 못 따라간다
피해는 운전자들 몫
올해 2022년 말까지 예상되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600만대이며, 이러한 추세는 해가 갈수록 더 늘어날 것이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이와 함께 늘 지적되는 것이 전기차 인프라 시설이다. 물론 이는 단순히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전기차 인프라 시설의 부족에 대한 자국내 비판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기차의 보편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는 무엇일까? 몇몇 국가들이 처한 상황과 그에 대한 조치를 살펴본 뒤,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도록 하자.

전기차 가장 앞서간다는 중국
국가 주도로 빠르게 확충했다고
중국은 세계에서 전기차의 보편화를 가장 공격적으로 실천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 2021년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된 친환경 자동차는 120만대에 달했으며, 이 중 순수 전기차는 약 100만대였다. 즉 분기마다 100만대의 전기차가 판매되고 있으며, 그 증가 폭 역시 지속해서 커지고 있다.
현재 중국 내에서는 각 성, 도시들이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거나, 혹은 민간 기업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개인이 충전기를 한 대 설치할 시 1만 위안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도 하는 등,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덕분에 현재 전 세계 공공 충전 인프라의 절반은 중국에 설치되어있다고 한다.

전기차 대비 충전소가 적다고?
무조건 나쁜 게 아니다
미국과 유럽 역시 전기차 생산 및 판매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전기차의 증가율 대비 공공 충전 인프라 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다고 말한다. 충전소의 수가 아니라, 그곳에 설치된 충전기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이들은 말한다.
충전소 사업에 민간 기업, 사업자들이 유입되기 위해선 충분한 수익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 8~10대의 차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충전소가 지나치게 많으면 충전소들의 전반적인 수익성이 하향 평준화될 것이며, 너무 적을 경우에는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기 때문에, 충전소당 전기차 수를 어느 정도 수준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지금 가장 전기차 타기 좋은 곳
이곳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
현재 전 세계에서 전기차가 가장 보편화된 곳은 노르웨이다. 노르웨이는 전기차 구매율 세계 2위인 국가이며, 인프라도 충분히 확충되어있다. 전기차 운전자는 버스차선 사용이 허용되며, 전기차 전용 주차장에는 기본적으로 충전기가 완비되어있다. 그 외에도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줌으로써 전기차를 구입할 동기를 끌어올린다.
노르웨이의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이 있다면, 전기차와 관련된 모든 혜택과 서비스도 인프라 의 확충 없이는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슬로 도심에서는 대형 주차장뿐 아니라 길거리에서도 충전소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즉, 전기차를 운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때, 진정으로 전기차의 보편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노르웨이와 비교해보면
전기차 보편화 멀지 않을 것
노르웨이가 적은 인구에 부유한 국가임을 고려한다면, 한국 역시 전기차 보편화가 아주 먼 이야기는 아니다. 상당 지역이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충전소 인프라를 설치하기도 좋고, 이미 전기차구입에 혜택을 제공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식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이 현실이다. 충전소는 고사하고 전기차로 이용할 자동 세차 시설도 마땅치 않은 것이 현재 한국 전기차 인프라의 현실이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러한 인프라 확충을 정부 주도하에 진행해야 할지, 혹은 민간의 참여를 독려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보자.
베터리 교체형으로 가면 됩니다
이렇게 문과생은 생각없이 댓글을 답니다.
일단 전기차 배터리가 어떻게 생겼나 검색이라도 좀… 무슨 내연기관차량 배터리인 줄 아시나..
기사 꼬라지 봐라
시발… 똥을 싸다마냐…
뭔 맨날 이렇게 이유가많아?
하…..머 있는척 자료 몇개 들고와서 싸지르고 독자 생각은 어떠냐니…대학생 발표냐…
그래 밑밥도 안던지고 미끼도없이 돈만 묵을라고
대가리를 교체해라
제2의 오토포스트같은 찌라시
조선족 기자인가? 제목에 짱깨 우위를 슬쩍 끼워넣기 하네~ 참 재수없군~
미친거 아녀? 기자 하지마라 니입 지식 질문 알바나 해
지식인에 질문올린기사같네 허허
명확히 표현하자면, 정부 민간 따로 구분해서 진행된것이 아닙니다.
유럽(노르웨이 등)에서, 정부가 주도함으로써 민간기업을 참여하는 형태로 간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씨티를 지정한후 그 도시는 Zero emission 구역을 목표로 모든 차량(건설기계 포함)은 무공해화 하는 것입니다. 민간기업에게는 보조금을 주어 참여를 장려하는 제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