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12월
내수 수출 포함해
판매량 9,000대 넘겼다

3일 쌍용자동차는 지난 12월 내수 5,520대, 수출 3,574대를 포함해 총 9,904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이번 판매 실적은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제약에 따른 생산 중단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3.5% 증가한 것이다. 차량 생산 악조건 속에서도 쌍용차의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토레스의 인기가 큰 영향을 미쳤다.

국내 공장의 생산 중단 사태로 인해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5% 감소했지만, 토레스의 판매 물량은 증가해 누계 대비 21.8% 증가했다. 2022년 7월 출시된 토레스는 당초 계획보다 30% 이상 증가된 누적 판매량을 기록했다. 토레스의 누적 판매량은 22,484대로 2만대 이상을 판매하며 내수 판매 증가세를 주도했다.

국내 車 판매 시장
악조건 속에서 성장세

조업일수 감소에도 뉴 렉스턴 스포츠&칸은 수출 부문에서 2배 이상 판매되는 성과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 20.1%, 누계 대비로는 61%가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산업은 판매 부진을 보였지만 쌍용자동차의 뉴 렉스턴 스포츠&칸 등 제품 개선 모델뿐만 아니라 신차 토레스를 출시해 판매량 증가를 보여줬다.

2022년 국산차 내수 판매 실적은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반도체 수급난 뿐만 아니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 불황과 고금리 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쌍용자동차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내수 68,666대, 수출 45,294대를 판매하여 총 113,960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 이는 2021년 대비 34.9% 증가한 수치다.

토레스가 이끈
쌍용의 부활

이번 쌍용자동차의 판매 실적에 가장 주력 모델로 꼽히는 토레스는 이제 브랜드의 핵심 모델로 확실하게 자리잡게 되었다. 출시 당시부터 큰 인기를 끌었던 토레스는 출시 2개월 만에 누적 계약 판매 6만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토레스의 독보적인 인기로 쌍용은 물량을 맞추기 위해 생산 공정에도 더욱 힘을 쏟았다. 출시 첫 달 출고 대수는 1587대였지만, 2달 후 4781대로 약200% 증가했다.

토레스의 인기 비결로는 주로 디자인과 가성비가 자주 언급된다. 정통SUV 스타일을 고수하며 출시되었는데, 쌍용의 전성기를 이끈 무쏘와 뉴코란도의 감성을 이어받게 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여기에 넓은 실내 공간이 더해져 화룡점정을 이루었다. 2열 폴딩 시 1,662L까지 적재가 가능해 요즘 유행하는 캠핑과 차박에 적합한 공간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 가격은 2,740만원부터 시작해 가성비가 좋은 차종으로 꼽히며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고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차종 중 하나인 토레스는 생산 부족 문제로 출고 대기 기간이 10개월이 넘어가고 있다. 대기 기간이 갈수록 늘어나게 되면서, 토레스를 구매하고자 했던 고객들도 다른 경쟁 모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쌍용차는 “내수 시장에서 토레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고, 지난 11월에는 글로벌 론칭을 시작하는 등 내수와 수출 모두 판매가 회복세”, “특히 올해는 원활한 부품 수급을 위한 부품 업체와의 긴밀한 협력과 안정적인 생산체제 구축은 물론 토레스 글로벌 론칭 확대 등 해외시장 공략 강화와 신차인 U100 그리고 상품성 개선 모델의 성공적인 출시를 통해 판매 증가세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라며 안정적인 생산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Featured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