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호 좌회전 사고
제보자도 책임 있어
네티즌 ‘양보하면서 살자’

도로 위는 다양한 위험 요소들이 숨어있다. 갑자기 튀어나오는 산짐승이나 도로 위에 날아다니는 판 스프링도 큰 위험이지만, 예측이 불가능한 다른 운전자들의 운전 스타일 역시 큰 위험 요소 중 하나이다. 운전 방식 중에서도 아마 많은 운전자가 싫어하는 것 중 하나는 양보하지 않는 습관이 아닐까?
최근 유튜브의 유명 블랙박스 사고 영상 제보 채널에 올라온 영상에는 비보호 좌회전을 하던 차량이 마주 오던 차량과 사고를 당하는 영상이 담겨있었다. 그런데 많은 네티즌이 이 사고에서 제보자의 책임도 분명히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어떻게 된 일일까? 사고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맞은편 차량과의 사고
사각지대로 인한 사고


해당 사고는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소방서, 혹은 경찰서로 들어가기 위해 비보호 좌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당시 제보자는 해당 교차로를 통과하면서 사고 차량이 우회전할 수 있게 크락션을 울리는 장면을 목격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이 행위 좌회전 차량의 이기적인 행동으로 오해할 수 있다.
이후 제보자 차량의 뒤로 통과하면서 좌회전하려고 하는데, 당시 반대 차선의 1차선에서 통과를 기다리던 셀토스 차량에 의해 2차선에서는 좌회전 차량을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형성된다. 결국 좌회전을 하던 차량을 보지 못하고 2차선에서 오던 아반떼와 추돌, 다행히도 적절한 감속으로 큰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맞은편 차량 과속 의심
제보자 꼬리물기도 지적


한 네티즌의 댓글에 따르면 해당 도로는 대전 계족로, 대덕경찰서 뒤편의 도로라고 한다. 해당 도로는 제한 속도가 30km 구간이라고 하는데, 당시 직진해 오던 아반떼의 속력은 30km를 넘은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아반떼 역시 일방적인 과실이 아닌, 어느 정도의 책임에 따른 과실이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많은 네티즌이 제보자의 운전 습관이 사고의 간접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바로 꼬리물기였다. 처음 비보호 좌회전을 시도하려던 차량이 크락션을 울렸을 때 앞차를 따라가는 꼬리물기가 아니라 양보했더라면 사고가 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이들의 근거이다.
양보하면 피할 수 있어
네티즌 ‘뭘 잘했다고..’


많은 사고가 양보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가려 하고, 어떻게든 먼저 가려고 하는 이기적인 운전 습관은 나뿐만 아니라 내 주변의 다른 차들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악순환되어 결국 나에게도 그 피해가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평소 운전을 할 때 양보하는 습관을 지니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네티즌은 제보자의 책임도 분명하다는 의견을 대부분 보였다. 한 네티즌은 ‘남 사고 난 거 지적하기 전에, 자기 운전 습관도 뒤돌아볼 필요 있어’라는 댓글을 남기기도 했으며, ‘이기적으로 운전하는 습관 들이면 나든 남이든 사고가 나게 되니, 처음 운전을 배울 때 배려하는 습관 들여야 한다’라는 댓글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도대체 헐명을 이해할 수가 없네…
아..기사 다시 써주세요.
비보호가 직진에게 양보해야지, 왜 직진이 비보호에게 양보해야 해? 크락션이 까방권이라도 되나? 황당한 기사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