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7급 공무원 합격했는데” 포기하고 장사 시작해… 이유 뭐길래

성하늘 기자 조회수  

7급 공무원 합격 후 부모님 몰래 장사
월 700만 원 버는 친구보고 포기
“7급 공무원 초봉 얼마 안 돼“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휴먼스토리’

7급 공무원 임용시험에 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포기하고 요식업에 뛰어든 청년의 사연이 전파되며 이목이 쏠리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휴먼스토리’에는 “7급 공무원 합격하고 부모님 몰래 장사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는 한 프랜차이즈 음식점 슈퍼바이저(관리자)로 근무 중인 윤정현(38) 씨가 출연해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놨다.

영상에서 윤 씨는 “대학교 1학년 때는 올 F 학점을 두 번 받았고 졸업은 수석으로 했다. 고등학생 때는 태권도 선수였는데 부상으로 그만두게 됐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성격이 ‘모’ 아니면 ‘도’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그는 “예전에 공무원 시험을 봐서 7급에 합격했다”라며 “그때 어머니에게 비밀로 하고 장사를 해서 어머니 속이 까맣게 타들어 갔다”라고 전했다.

사진 출처 = ‘뉴스 1’

윤 씨는 공무원 임용을 포기한 것과 관련해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발령을) 기다리는 동안 친구가 가게를 한다고 하기에 ‘뭐 하나 보자’하고 가봤는데 장사가 잘되더라”며 “매출이 4~5,000만 원 정도 나오고 매달 700만 원씩은 가져간다더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7급 공무원 초봉이랑 비교해 보니 ‘공무원 할 때가 아니다’ 싶었다“라며 “다음 날 바로 계약서를 쓰고 가게를 준비했다”라고 말했다.

올해 7급 공무원 연봉은 1호봉 기준 211만 2,118원으로 지난해 대비 약 6만 원 상승했다. 이는 올해 들어 7급 공무원 연봉이 3% 인상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매달 정액 급식비 14만 원, 직급 보조비 매달 18만 원(7급 기준), 명절휴가비 설날 추석 각각 123만 원, 연가 보상비, 성과 상여금 등을 합치면 연봉은 더 늘어난다,

사진 출처 = ‘지엔씨신칼’

현재 해당 영상의 윤 씨는 운영하던 가게를 접고 프랜차이즈 음식점에서 가맹점 관리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다시 자신의 매장을 차릴 계획이라고 밝히며 “저희 회사가 10년 근속하면 가게를 하나 차려준다. 3년 근속하면 30%, 5년 근속하면 50%, 10년 근속하면 매장 하나 차리는 데 100% 지원해 준다”라고 응답했다. 더불어 윤 씨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초보 창업자들에게 조언하기도 했다.

그는 초보 창업자들에게 “초기에는 계산기를 너무 많이 두드리지 말라”라며 “매출이 어느 정도 나오면 그걸 마케팅 비용으로 쓰거나 직원을 더 채용하는 등 재투자해서 가게 퀄리티를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 오픈하자마자 ‘한 그릇 팔았을 때 몇백 원이 남으니까 여기서 100원을 더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지’를 생각하면 계속 안 좋아진다”라고 강조했다.

사진 출처 = ‘뉴스 1’

또한 윤 씨는 “온 손님이 또 오는 게 중요하다. 백 명이 한 번 오는 가게보다 한 명이 백 번 오는 게 훨씬 이득이다. 그게 오래가는 가게다”라고 전했다.

한편,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가축방역관 수의직 공무원을 7급에서 6급으로 올렸음에도 지원자가 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가축방역관 현행 정원 1,063명 중 수의직 공무원은 785명(73.8%)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의직 공무원은 2022년 901명(정원의 71.9%)에서 2023년 821명(67.6%)으로 감소한 이후 지난해 더 하락했다. 가축방역관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가축 전염병을 예방하며, 질병이 발생할 경우 역학조사‧정밀검사 등의 업무를 하는 수의사를 의미한다.

사진 출처 = ‘뉴스 1’

이러한 가축방역관 부족이 지속될 경우 현재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병원성 AI 등 전염병 대응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다. 현재 부족한 가축방역관은 수의대학 출신의 군 대체복무자인 공중 방역 수의사가 맡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이들은 의무복무기간이 종료되면 자리를 떠나는 인력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는 지역 동물병원 수의사에게 일부 업무를 의뢰하거나(공수의 지정), 농협 방제단 등의 일손을 빌리고 있는 상황이다.

퇴직한 수의직 공무원 수만큼 신규 임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 지방자치단체는 인력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라남도에서도 기존에 7급 공무원으로 뽑던 수의직을 지난해 6급으로 상향 조정해 6명을 선발하겠다고 공고했으나 최종 합격자는 1명에 그쳤다.

이러한 수의직 감소가 이어지는 현상은 반려동물 산업의 급성장으로 수의사들이 공직보다 벌이가 좋은 동물병원 개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author-img
성하늘 기자
amk99@automobilekorea.com

댓글0

300

댓글0

[산업/경제] 공감 뉴스

  • "섬뜩한 경고? 팩트일 줄이야..." 한국 개미들 투자 패턴, 美 시장에서 논란 된 이유
    그냥 냅뒀다간 '다 죽는다'.. 한국 개미들, 美 시장에서 논란인 이유
  • “다주택자도 막더니 무주택자까지?... 줄줄이 대출 혜택 축소, 서민들 ‘멘붕’”
    결국 무주택자까지..? 줄줄이 대출 혜택 축소, 서민들 '멘붕' 빠졌다
  • "270억 쏟아부었는데…" 이정재도 못 살렸다, 하림의 ‘야심작’ 충격적인 결과
    270억 쏟아 부었는데.. 이정재도 못 살린 하림 '야심작' 충격적 결과
  • "웬만하면 다 떨어진다는데..." 취업률 80% 넘긴 ‘알짜 자격증’ 정체는?
    따기만 하면 직장 생긴다.. 취업률 80% 넘긴 '알짜 자격증' 정체
  • “그 돈이면 일 안 하지”... 실업급여 논란에 정부가 꺼낸 ‘강수’, 대체 뭐길래
    "그 돈이면 일 안 하지".. 실업급여 논란에 정부가 꺼낸 '초강수'
  • "한 채 지을 때마다 1억 적자?" 공공주택 100만 호 공급한다더니... LH ‘초비상’
    한 채 지으면 '적자 1억'.. 임대주택 100만 호 공급한다던 LH '초비상'

당신을 위한 인기글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