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과거 인구수 3위였는데 “출산율 박살”.. 처참한 근황 전한 ‘이 도시’

성하늘 기자 조회수  

전주 인구수 절벽 가속화
전국 출산율보다 낮은 수치
“1개 동에 1 특화 거리 조성 목표로 정책 추진“

사진 출처 = ‘뉴스 1’

과거 18세기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전주는 남한에서 인구수 3위를 자랑할 만큼 인구수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전주시가 전국 출산율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면서 인구절벽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과거 전주는 가장 넓은 호남평가를 바탕으로 농사를 위해 인구밀도가 높았다.

그러나 6·25전쟁으로 인해 사람들이 영남으로 이동하고 산업 발달로 공장지대로 옮기면서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이에 서울로 인구가 쏠리게 되면서 순유출만 상승하게 된 것이다.

사진 출처 = ‘대구시’

70~80년대에는 산업이 확장되면서 전북에 대한 수요가 낮아졌다. 이는 주요 공장이 전북에 위치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 전북은 농사에만 의존하며, 소비도시만 유지하게 되었다.

이후 최근 업계에 따르면 군산과 완주봉동에 현대차 공장지대가 전라북도 내에서 비교적 크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군산은 대우와 조선의 이탈로 침체하였고 현대차는 버스만 생산하기 때문에,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여기에 전북 내에 새로운 공장을 유치하기에는 수도권에 가까운 충청도에 비해 메리트가 떨어져 회사나 사람들이 유입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전주를 둘러싸고 인구 절벽 위기에 직면했다는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 출처 = ‘뉴스 1’

또한 청년층 인구들이 취업을 위하여 전주를 떠나면서 자연스레 인구 순유출 증가, 출산·혼인 감소가 이루어졌다. 이에 취업과 이직 등을 위해 고향을 떠난 이들이 전주를 다시 찾아오도록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해 7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현황에 따르면 전주시 인구는(2021년 기준) 65만 명 선에 위치해있었다. 하지만 인구가 감소해 2023년 64만 2,727명을 기록하면서 65만 선이 깨졌다.

사진 출처 = ‘뉴스 1’

인구증가율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9년까지 증가추세를 보이던 인가 증가율은 2020년부터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2023년에는 -1.35%까지 감소하기도 했다.

전주시의 합계출산율도 0.95명이었던 2018년 대비 대폭 하락해 2023년에 0.69명을 기록했다. 해당 수치는 당시 전국 평균 0.72명과 전북특별자치도 0.78명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치다.

낮은 출생률에 반해 고령화 지수는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지수는 지난 2019년 103.8명을 달성하며 100명대를 초과했다. 이후 2023년에는 143.6명을 돌파하며 급등한 수치를 보였다.

전주가 인구 유출로 인해 인구절벽에 놓이자 지난 19일 개최된 제41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김원주 전북 전주시의원은 목소리를 냈다.

사진 출처 = ‘뉴스 1’

그는 “지난 2014년 ‘전주시 구도심 활성화 지원조례’가 폐지된 뒤 10여 년이 지난 현재 전주시의 구도심은 온기를 잃어가고 있다. 중앙동과 진북동 등 구도심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이 27%에 달하고 있으며, 특화 거리인 ‘영화의 거리’나 ‘걷고 싶은 거리’ 역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라며 “점점 쇠락해 가고 있는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김 의원은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조성한 고려인 거리는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자리 잡았다. 청주시 역시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공간을 조성, 유동 인구 60% 증가와 공실률 42.3% 감소 등의 효과를 거뒀다”라며 “이외에도 군산시와 성남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특화 거리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전주시는 더 이상 특화 거리에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구도심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1개 동에 1 특화 거리 조성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며 “특히 시민들과 함께 조성한 특화 거리가 성공할 수 있는 만큼,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된 거리 조성이 시급하다. 당장 관련 조례 제정과 위원회 구성 등 심도 있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라고 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김 의원의 발언에 빠른 시일 내에 전주시의 인구절벽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파악된다.

author-img
성하늘 기자
amk99@automobilekorea.com

댓글0

300

댓글0

[산업/경제] 공감 뉴스

  • "섬뜩한 경고? 팩트일 줄이야..." 한국 개미들 투자 패턴, 美 시장에서 논란 된 이유
    그냥 냅뒀다간 '다 죽는다'.. 한국 개미들, 美 시장에서 논란인 이유
  • “다주택자도 막더니 무주택자까지?... 줄줄이 대출 혜택 축소, 서민들 ‘멘붕’”
    결국 무주택자까지..? 줄줄이 대출 혜택 축소, 서민들 '멘붕' 빠졌다
  • "270억 쏟아부었는데…" 이정재도 못 살렸다, 하림의 ‘야심작’ 충격적인 결과
    270억 쏟아 부었는데.. 이정재도 못 살린 하림 '야심작' 충격적 결과
  • "웬만하면 다 떨어진다는데..." 취업률 80% 넘긴 ‘알짜 자격증’ 정체는?
    따기만 하면 직장 생긴다.. 취업률 80% 넘긴 '알짜 자격증' 정체
  • “그 돈이면 일 안 하지”... 실업급여 논란에 정부가 꺼낸 ‘강수’, 대체 뭐길래
    "그 돈이면 일 안 하지".. 실업급여 논란에 정부가 꺼낸 '초강수'
  • "한 채 지을 때마다 1억 적자?" 공공주택 100만 호 공급한다더니... LH ‘초비상’
    한 채 지으면 '적자 1억'.. 임대주택 100만 호 공급한다던 LH '초비상'

당신을 위한 인기글

공유하기

0